- 鼓腹擊壤
- 고복격양【鼓腹擊壤】〔중국의 요(堯) 임금 때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요 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태평을 즐겼다는 고사에서〕 태평성대를 즐김.
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. 2013.
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. 2013.
鼓腹擊壤 (고복격양) — 태평성세를 즐기는 형용. <故事> 요 (堯) 임금 때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요 (堯) 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태평성세 (太平盛世) 를 즐긴 고사에서 나온 말. 鼓腹擊壤 (고복격양) 백성이 천하의 태평을 즐김을 말함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고복격양 — 鼓腹擊壤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康 — 【강】 편안하다; 편안히 하다; 즐겁다; 즐거워하다; 풍년이 들다; 비다; 기리다; 사통오달 (四通五達) 하는 길 庚 (일곱째천간경) + 米 (쌀미) ?부 8획 (총11획) [1] peaceful [2] healthy [3] abundant [4] level; even and smooth (road, etc.) [5} a Chinese family name 康健 (강건) 기력이 튼튼하고 건강함 康衢煙月 (강구연월) 태평한 시대의…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康衢煙月 (강구연월) — 태평한 시대의 평화스러운 모습. 태평성대 (太平聖代) . 격양가 (擊壤歌) . 고복격양 (鼓腹擊壤) . 요순시대 (堯舜時代) . 비옥가봉 (比屋可封)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月 — 【월】 달; 세월; 다달이 달마다 초승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. 月부 0획 (총4획) [1] [n] moon [2] [n] month [3] Kangxi radical 74 ゲツ·つき 看雲步月 (간운보월) 고향 생각이 간절하여, 낮이면 고향 쪽 하늘을 바라보고, 밤이면 달을 바라보며 거닌다는 뜻. 看月會 (간월회) 음력 8월 15일 밤의 달맞이의 모임. 康衢煙月 (강구연월) 태평한 시대의 평화스러운 모습. 태평성대 (太平聖代) . 격양가…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煙 — 【연】 연기; 연기가 끼다; 그을음; 담배 火 (불화) + (아궁이모양인) 火부 9획 (총13획) [1] [n] smoke; fumes [2] soot; tobacco; cigarettes [3] mist; vapor [4] opium [5] a Chinese family name 康衢煙月 (강구연월) 태평한 시대의 평화스러운 모습. 태평성대 (太平聖代) . 격양가 (擊壤歌) . 고복격양 (鼓腹擊壤) . 요순시대 (堯舜時代) . 비옥가봉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腹 — 【복】 배; 두텁다; 껴안다. 肉 (몸육) + (거듭복) 月 (肉) 부 9획 (총13획) [1] [n] stomach; belly; abdomen; under the chest [2] inside; inner [3] the front part 開腹 (개복) 배를 가름 鼓腹 (고복) 배를 두드림. 세상이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하여 잘 먹고 만족한 것을 형용한 말 鼓腹擊壤 (고복격양) 백성이 천하의 태평을 즐김을 말함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衢 — 【구】 (네) 거리; 갈림길 行부 18획 (총24획) [n] highway junction; thoroughfare; intersect ク·ちまた 街衢 (가구) 길거리 街衢經行 (가구경행) 고려 때 중이 개성 거리를 경문을 외고 다니며 백성을 위하여 복을 빌던 일. 康衢煙月 (강구연월) 태평한 시대의 평화스러운 모습. 태평성대 (太平聖代) . 격양가 (擊壤歌) . 고복격양 (鼓腹擊壤) . 요순시대 (堯舜時代) . 비옥가봉 (比屋可封) … Hanja (Korean Hanzi) dictionary
고복격양 — 고복격양【鼓腹擊壤】 〔중국의 요(堯) 임금 때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요 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태평을 즐겼다는 고사에서〕 태평성대를 즐김 … Dictionary of Chinese idioms in Korean